티스토리 뷰
목차
처음 볼링장에 갔는데 용어도 모르고 당황하셨나요? 더 이상 고민하지 마세요! 여러분도 하나씩 배우다 보면 스트라이크는 기본이고 베테랑이 될 수 있습니다. 볼링의 기초부터 꿀팁 정보까지 함께 알려드려요!
🎳 규칙 안지키면? 탈락 입니다. 꼼수부리지 말고 규칙 지키세요.
기본 용어 ( 🎯 득점 관련)
- 스트라이크: 1구에 10개 핀 모두 쓰러뜨림
- 스페어: 2구에 걸쳐 10개 핀 완성
- 거터: 볼이 레인 옆 홈으로 빠짐
- 오픈: 2구 투구 후에도 핀이 남음
- 퍼펙트: 12개의 연속 스트라이크
초보자들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이 점수 계산법입니다.
스트라이크는 그 프레임의 점수가 다음 2구의 점수를 합산하여 결정되고, 스페어는 다음 1구의 점수를 더합니다.
처음에는 거터볼이 나와도 실망하지 마세요. 모두다 처음에는 거터로 시작했답니다.
🔎 초보자는 기본 에티켓 정도는 알고 치세요. 아는게 다가 아닐 수 있습니다.
장비 용어 ( 🎳 기본 장비)
- 볼링공: 무게와 홀 크기 선택 가능
- 볼링화: 미끄럼 방지 특수 신발
- 파우더: 손바닥 미끄럼 방지용
- 홀: 볼링공의 손가락 구멍
- 핀: 레인 끝에 있는 목표물
초보자는 8-12파운드 무게의 공을 추천합니다.
볼링공의 홀은 자신의 손가락 크기에 맞춰야 하는데, 렌탈공은 보통 크기가 표준이라 불편할 수 있습니다.
볼링화는 일반 운동화와 달리 한쪽은 미끄러지고 한쪽은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설계되어 있어 초보를 벗어난 후에는 필수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 자세 ( 🏃♂️ 스텝 요령)
- 어드레스: 시작 자세
- 백스윙: 공을 뒤로 미는 동작
- 릴리즈: 공을 놓는 순간
- 폴로스루: 공 던진 후 자세
- 4스텝: 기본적인 4걸음 투구법
기본자세가 가장 중요합니다. 4스텝은 오른손잡이 기준으로 오른발부터 시작하며, 마지막엔 왼발을 슬라이딩합니다.
어깨는 똑바로 유지하고, 팔은 가능한 직선으로 스윙하세요. 처음에는 스트레이트볼로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볼링 레인 구조 ( 🎯 레인 정보)
- 페이스트: 레인의 앞부분
- 애로우: 레인에 그려진 화살표
- 포켓: 1번핀과 3번핀 사이 공간
- 브레이크 포인트: 공이 휘기 시작하는 지점
- 볼 리턴: 공이 돌아오는 장치
레인의 시작 부분인 페이스트에서 약 15피트(환산해서 460Cm정도) 지점에 있는 애로우 마크가 중요한 조준점이 됩니다.
오른손잡이는 2번 애로우를, 왼손잡이는 3번 애로우를 기본 조준점으로 삼으면 좋습니다. 포켓을 정확히 맞추면 스트라이크 확률이 가장 높아집니다.
점수 계산법
- 프레임: 총 10개의 게임 단위
- 더블: 연속 2개의 스트라이크
- 터키: 연속 3개의 스트라이크
- 햄본: 스플릿 상태에서 스페어 성공
- 와셔: 7-10 스플릿 상태에서 스페어 성공
한 게임은 10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됩니다.
스트라이크를 치면 그 프레임의 점수는 다음 2구의 점수를 더해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스트라이크 후 다음 프레임에서 9점과 1점을 얻으면 첫 프레임은 20점이 됩니다.
매너와 에티켓
- 레인 우선권: 오른쪽 레인 우선
- 투구 간격: 옆 레인과 교차 투구
- 파울라인: 넘지 않기
- 장비 관리: 공 닦기, 신발 관리
- 투구 준비: 자신의 차례에 신속히
볼링장에서의 매너는 즐거운 게임을 위해 필수입니다.
특히 옆 레인 사람이 투구 준비 중일 때는 잠시 기다려주는 것이 예의입니다
또한 파울라인을 넘으면 점수가 0점 처리될 뿐만 아니라, 레인 손상의 위험도 있습니다.
볼링은 배우기 쉽지만 마스터하기는 어려운 스포츠입니다. 기본기에 충실하면서 차근차근 실력을 쌓아가세요.
한 번에 스트라이크를 노리기보다는
스페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은 점수의 지름길입니다!
'health & beau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음파 검사를 통한 소아사경 진단 및 치료 (0) | 2024.10.24 |
---|---|
전국 24시간 야간 동물병원 찾기 서비스 (0) | 2024.10.24 |
골프 초보 골린이를 위한 골프 기초 용어 정리 (0) | 2024.10.24 |
심장이 저릿하는 증상, 무시하면 안 되는 건강 신호 (0) | 2024.10.24 |
허리 아프면 한의원 정형외과 중에 어디를 가야하나요? (0)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