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자고 일어났는데 갑자기 엄지발가락이 안 올라가나요? 이유도 없이요? 꽤나 당황스러울 겁니다. 의심해 볼 수 있는 증상은 신경 눌림으로 인한 허리디스크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만, 기타 다른 말초 질환들과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걱정을 덜어드리겠습니다.

엄지발가락이 안 올라가는 이유와 의심해볼 수 있는 증상
우리 몸의 신경 체계는 참 복잡합니다. 발가락 하나를 움직이는 데에도 여러 신경과 근육이 관여하죠. 그중에서도 L5라고 불리는 요추 5번 신경은 엄지발가락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L5 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네, 바로 엄지발가락을 올리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게 전부가 아닙니다. 발등이 저리거나 둔해지는 느낌이 들 수도 있고, 심하면 족하수(걸을 때 발목 힘이 없어서 발이 축 쳐지는 현상)가 발생하여 발가락이 바닥에 끌리는 등의 불편한 느낌이 들 수도 있어요. 때로는 허리나 엉덩이에서 다리 쪽으로 통증이 내려가는 경험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면 많은 분들이 허리 디스크를 의심하게 됩니다. 물론 가능성이 있죠. 하지만 꼭 그렇다고 단정 짓기는 이릅니다. 말초신경 질환이나 단순한 근육 문제도 비슷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거든요. 그래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허리디스크 재발? 수술은 더 이상 안하고 싶어요.
허리디스크로 몇 년 전에 수술을 받았는데 관리를 너무 안 했던 탓인지 저림과 통증 증상이 다시 나타났나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였네요. 이제 방법이 없을까요? 진작에 관리를 하지 그러셨어
niceshoot.tistory.com
이유 없이 갑자기 안 올라간다면?
어젯밤까지 멀쩡했는데, 아침에 일어나 보니 갑자기 엄지발가락이 말을 듣지 않는다면요? 꽤나 당황스러울 겁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대부분의 경우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잠을 자는 동안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여러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가끔 신경이 일시적으로 눌리거나 근육이 뭉칠 수 있어요. 또는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죠. 대개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좋아집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도 있어요. 만약 증상이 하루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허리 통증이 함께 나타나거나 다른 이상한 증상이 동반된다면 더욱 그렇죠.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우선 올바른 수면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매트리스와 베개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급하게 움직이기보다는 천천히 몸을 풀어주는 습관을 들이면 좋아요.
허리디스크 시술, 수술 비용과 종류
허리디스크로 인해 참을 수 없는 통증을 알고 계신가요? 보존적 치료방법으로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시술 또는 수술을 통해서 원인을 말끔히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을 택해야 하는데
niceshoot.tistory.com
말초 신경 질환 VS 허리디스크
엄지발가락이 안 올라가는 증상의 원인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말초신경질환과 허리디스크입니다.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이 왜 중요한 이유는 치료 방법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말초질환은 주로 발이나 다리에만 국한되서 증상이 나타나요. 양쪽 발에 동시에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저림, 통증, 근력 약화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당뇨나 알코올 중독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이 가능성을 한 번쯤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면 허리디스크는 조금 다릅니다. 튀어나온 디스크로 인해서 L5(요추 5번 신경)이 눌리면서 생기는 경우가 많죠. 대개는 한쪽 다리에만 증상이 나타나고, 허리 통증이 동반돼서 함께 오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재채기를 하거나 기침을 할 때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것도 특징입니다.
어떤 분들은 "아, 그럼 내가 직접 구분할 수 있겠네!"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찰과 검사가 필요해요. MRI나 신경전도 검사 같은 정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즉시 병원에 가야 하나? 전혀 안 움직일 때와 약간 움직일 때 비교 및 대처방법
자, 이제 실제로 이런 증상이 나타났다고 가정해 볼까요? 많은 분들이 "이 정도면 병원에 가야 하나?" 하고 고민하실 거예요. 이럴 때는 증상의 정도를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엄지발가락이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이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각한 신경 압박이 있을 수 있고,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근육과 신경의 회복이 늦어질 수 있어요.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약간은 움직일 수 있는 정도라면 1-2일 정도 경과를 지켜볼 수 있어요. 이럴 때는 온찜질을 하거나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증상을 완화해 볼 수 있죠.
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계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어요. 어떤 경우든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참을 수 없이 심한 통증이 지속될 때, 대소변을 조절하기 어려울 때, 다리 전체의 심한 근력 약화가 있을 때, 고열이 함께 나타날 때는 지체하지 말고 119를 불러서 병원으로 바로 가시기 바랍니다.
➡️ 허리디스크 운동을 무리하게 하면 오히려 탈납니다. 정말 약하게 하셔야 합니다.

'health & beau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 동반한 거북목 증상에 따른 도수치료 교정 방법 (0) | 2024.07.26 |
---|---|
물리치료 도수치료 차이점 및 비용 장점 단점 (0) | 2024.07.26 |
디스크 환자면 꼭 수술해야 하나요? 보존적치료 종류. (0) | 2024.07.26 |
엉덩이 종아리 저림 통증이면 이상근 증후군? 천장관절증후군? 허리디스크? (0) | 2024.07.26 |
물리치료 일주일에 받을 수 있는 최대 횟수 (0) |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