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ealth & beauty

헌혈 가능한 연간횟수

welfare policy 2024. 8. 30. 10:18


헌혈은 생명을 살리는 고귀한 행동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일 년에 몇 번까지 헌혈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집니다. 오늘은 헌혈 가능한 연간 횟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반적인 헌혈 횟수 규정

 

 

 

 

대한적십자사의 규정에 따르면, 헌혈 종류별로 연간 가능한 횟수가 다릅니다.

 

 

  • 전혈 헌혈: 연간 5회까지 가능
  • 혈장 성분 헌혈: 연간 24회까지 가능
  • 혈소판 성분 헌혈: 연간 24회까지 가능


단, 전체 헌혈 횟수(전혈 + 성분 헌혈)는 연간 총 24회를 넘을 수 없습니다.

 

 

 

➡️ 헌혈가기 전에 올해 헌혈 기념품 알아보고 가세요.

 

 

 

 

 

 

 

 

2. 헌혈 종류별 간격과 특징

 
 

전혈 헌혈


2개월(남성은 8주, 여성은 12주)에 1회 가능
한 번에 320ml 또는 400ml 헌혈
적혈구, 혈장, 혈소판 등 모든 혈액 성분을 기증

 


혈장 성분 헌혈


2주일에 1회 가능
한 번에 500ml 헌혈
혈장만 채취하고 나머지 혈액 성분은 다시 돌려받음

 


혈소판 성분 헌혈


2주일에 1회 가능
한 번에 혈소판 농축액 1단위(250ml) 또는 2단위(500ml) 헌혈
혈소판만 채취하고 나머지 혈액 성분은 다시 돌려받음

 

 

3. 헌혈 가능 조건과 주의사항

 

 

헌혈 횟수 외에도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나이: 16-69세 (65세 이상은 60-64세 사이에 헌혈 유경험자만 가능)
  • 체중: 남성 50kg 이상, 여성 45kg 이상
  • 혈압: 수축기 혈압 90-180mmHg, 이완기 혈압 100mmHg 이하
  • 헤모글로빈 수치: 남성 12.5g/dL 이상, 여성 12.0g/dL 이상
  • 최근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전염성 질환이 없을 것

 


헌혈 후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과도한 헌혈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규정을 꼭 지켜야 합니다. 헌혈 전 충분한 수면과 식사가 필요합니다.

 

 

4. 특수한 상황과 예외 사항

 

 

일부 상황에서는 헌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6개월 이내의 여성
  • 최근 수술을 받았거나 치료 중인 경우
  • 특정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 해외 여행 후 일정 기간 동안


또한, 드물게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더 자주 헌혈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혈액형이 긴급하게 필요한 상황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헌혈은 타인의 생명을 구하는 매우 의미 있는 행동이지만, 동시에 헌혈자의 건강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해진 횟수와 간격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헌혈에 관심이 있다면, 가까운 헌혈의 집을 방문해 보세요. 헌혈 전 상담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와 헌혈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헌혈 가능한 연간 횟수